
교육과정 소개
체계적인 전공 교과목 이수체계도
교육과정 기본 방향
- 본 학과는 학생상담과 학과 교수들의 토의를 거쳐 실무적 디자인교육체제를 기반으로
- 학과기업체제 구축을 위한 연관 교과목 개설
- 전공 관련 기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 교과목 편성
- 취업 및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실무능력 개발 교과과정 편성
- 현재 트렌드와 핵심역량(DAVID+) 배양에 맞도록 타 전공과의 융복합 교육과정(복수 및 부전공) 오픈
- 글로벌디자인 리더 인재 양성을 위한 관련 교과목 운용의 방향으로 교육과정 구축
교육과정 기본 구조
- 본 학과 학생들이 계열공통(기초), 전공기초, 전공핵심, 전공심화트랙과 부전공 트랙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게한다.
- 융복합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본 학과와 실내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가구디자인학과, 조형회화과 공동으로 계열공통(기초)전공 개설
교육과정과 융복합
- 창의적 전문 지식을 가진 실무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해 학과 전공핵심, 전공심화트랙에 다수의 특성화 과정 관련 교과목 개설
- 학과기업체제 구축을 위해 전공기초, 전공핵심, 전공심화트랙 교과목의 체계적 운용
- 실용적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인재 양성을 위한 교과목 개설로 취업률 제고
- 융복합사업의 하나인 글로벌 디자인 인재양성을 위해 관련 2개 교과목 신설
계열공통과목 교육과정 개설 총괄표
학년 | 학기 | 이수 구분 |
교과목 | 학점 | 시수 | DAVID+ | |
---|---|---|---|---|---|---|---|
이론 | 실기 | ||||||
1 | 1 | 전공 선택 |
현대디자인사 | 2 | 2 | 1 | V,I,+ |
서양미술의여행 | 2 | 3 | 0 | V,I,+ | |||
2 | 스케치기법 | 2 | 1 | 2 | D,A,V,+ | ||
기초컴퓨터활용 | 2 | 1 | 2 | D,A,V,+ | |||
기초디자인 | 2 | 1 | 2 | D,A,V,+ | |||
3 | 1 | 전공 선택 |
공간디자인연구 | 3 | 2 | 1 | D,A,V |
유니버설 디자인 | 3 | 1 | 2 | D,A,V,+ | |||
2 | 아트&디자인 Collaboration | 3 | 1 | 2 | D,A,V,+ | ||
인간공학 | 3 | 2 | 1 | D,A,V,+ | |||
사고와발상 | 3 | 1 | 2 | D,V |
교과과정 이수에 대한 학과내규
1) 졸업시험에 대한 내규
- 졸업작품은 타 학과의 졸업 논문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졸업작품의 심사, 전시일정과 장소는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졸업예정자는 졸업작품을 1인 2점(개인 1점, 그룹 1점)을 제출해야 하며, 반드시 졸업작품집에 해당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졸업작품은 교내에서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지도교수의 지도를 정기적으로 받는 과정이 없는 졸업예정자의 작품은 완성도에 상관없이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단, 취업을 하였을 경우에 한하여 예외로 한다. 이 경우 학과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4학년 1학기 개설된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I, II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 과목으로 반드시 2학기 졸업작품 III, IV를 동반 수강해야 한다. (단, 학점관계상 부득이하게 동반수강이 불가할 때는 해당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교과과정 이수에 대한 내규
- 1&2학년은 각 학년 별 개설된 계열기초과목을 필히 연 2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 학년 별 교과목에 표기된 과목 중 전공필수 24학점, 계열기초과목을 포함한 전공선택 60학점 이상(전체 수강과목의 80%)을 본 학과 전공과목으로 이수한 자에 대해서만 졸업예정자로 인정하여 졸업 작품 수행을 할 수 있다.
이수체계도
교육목표
- 조형력과 응용력을 겸비한 창의적 전문 지식을 가진
실무디자이너의 양성 - 지역사회 및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인재의 양성
교육기본방향
제품디자인학과 특성화·제품디자인학과 학생역량강화 (DAVID +)
계열기초
1학년 : 스케치기법(제품) / 현대디자인사(실내) / 색채(시각) / 기초컴퓨터활용(가구) / 서양미술의 여행(조형)
2학년 : 인터랙션디자인(제품) / 공간디자인 연구(실내) / 사고와 발상(시각) / 인강공학(가구) / 아트&디자인 콜라보레이션(조형)
전공기초과정
디자인아이디어발상 I, II / 2D 컴퓨터디자인 I, II / 조형실습 I, II / 디자인스튜디오 I, II /
디자인 & 테크놀로지 I, II / 모델링 I, II / 재료와 디자인 / 인터랙션디자인 I, II / 제품색채론 / 3D 컴퓨터렌더링 I, II
전공핵심과목
융합디자인 I, II / 환경제품디자인 I, II / 글로벌디자인트렌드분석 I, II / 공공디자인 I, II /
유니버셜디자인 I, II / 서비스디자인 I, II
전공심화과목
졸업작품 I, II, III, IV / 프레젠테이션기법 / 커리어 매니지먼트 / 디자인워크샵 I, II
진로방향
취업·창업·진학
D
A
V
I
D
+
학
과
기
업
체
제
구
축

변경사항 : 10.5차 교과과정에서 11차 교과과정으로 명칭이 변경된 교과목
비고 | 10.5차 교과내용 | 11차 교육과정 | 변경내용 |
---|---|---|---|
이수구분 | 교과목명 | 교과목명 | |
계열기초(전선) | 인터렉션디자인(2학년1학기) | 유니버설디자인 | 대체과목 |
계열기초(전선) | 인터렉션디자인(2학년2학기) | 유니버설디자인 | |
전선 | 서비스디자인 1,2(3학년1,2학기) | 디자인사고 1,2 | |
전선 | 스피치&커뮤니케이션(4학년1학기) | 프레젠테이션기법 |
전공 교육과정 개설 총괄표
학년 |
학기 |
교과 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WESLEY |
비고 |
|
---|---|---|---|---|---|---|---|---|
이론 |
실기 |
|||||||
1 |
1 |
전선 |
조형실습 I |
2 |
|
3 |
W, Y, E1 |
|
전선 |
디자인아이디어발상 I |
2 |
|
3 |
W, E1, Y |
|
||
전선 |
2D 컴퓨터디자인 I |
2 |
|
4 |
E1, Y |
|
||
전선 |
스케치기법 |
2 |
1 |
2 |
W, E1, Y |
계열공통과목 |
||
2 |
전선 |
조형실습 II |
2 |
|
3 |
W, Y, E1 |
|
|
전선 |
디자인아이디어발상 II |
2 |
|
3 |
W, E1, Y |
|
||
전선 |
2D 컴퓨터디자인 II |
2 |
|
4 |
E1, Y |
|
||
전선 |
스케치기법 |
2 |
1 |
2 |
W, E1, Y |
계열공통과목 |
||
전필 |
전공진로설계 |
1 |
|
1 |
|
P/NP |
||
2 |
1 |
전필 |
디자인스튜디오 I |
3 |
1 |
4 |
W, E1 |
|
전필 |
디자인 & 테크놀로지 I |
3 |
1 |
4 |
W, E1, Y |
|
||
전선 |
모델링 I |
2 |
|
3 |
E1, E2 |
|
||
전선 |
재료와 디자인 |
2 |
|
3 |
E1, E2 |
|
||
전선 |
3D 컴퓨터렌더링 I |
2 |
|
4 |
W, E1, E2 |
|
||
전선 |
유니버설디자인 |
3 |
1 |
2 |
W, E1, E2 |
인터렉션디자인 (10.5차 교과과목명) 계열공통과목 |
||
2 |
전필 |
디자인스튜디오 II |
3 |
1 |
4 |
W, E1, Y |
|
|
전필 |
디자인 & 테크놀로지 II |
3 |
1 |
4 |
W, E1, Y |
|
||
전선 |
유니버설디자인 |
3 |
1 |
2 |
W, E1, S, E2 |
인터렉션디자인 (10.5차 교과과목명) 계열공통과목 |
||
전선 |
모델링 II |
2 |
|
3 |
E1, E2 |
|
||
전선 |
제품색채론 |
2 |
|
3 |
W, Y |
|
||
전선 |
3D 컴퓨터렌더링 II |
2 |
|
4 |
W, E1, E2 |
|
||
3 |
1 |
전필 |
융합디자인 I |
3 |
1 |
4 |
W, E1, Y |
|
전필 |
환경제품디자인 I |
3 |
1 |
4 |
W, E1, L |
|
||
전선 |
글로벌디자인트렌드분석 I |
3 |
1 |
4 |
W, E1, Y |
|
||
전선 |
공공디자인 I |
3 |
1 |
4 |
W, E1, L |
|
||
전선 |
사용자경험디자인I |
3 |
1 |
4 |
W, E2, Y |
|
||
전선 |
디자인사고 I |
3 |
1 |
4 |
W, E1, S, E2 |
서비스디자인 I (10.5차 교과과목명) |
||
2 |
전필 |
융합디자인 II |
3 |
1 |
4 |
W, E1, Y |
|
|
전필 |
환경제품디자인 II |
3 |
1 |
4 |
W, E1, L |
|
||
전선 |
글로벌디자인트렌드분석 II |
3 |
1 |
4 |
W, E1, Y |
|
||
전선 |
공공디자인 II |
3 |
1 |
4 |
W, E1, L |
|
||
전선 |
사용자경험디자인 II |
3 |
1 |
4 |
W, E2, Y |
|
||
전선 |
디자인사고 II |
3 |
1 |
4 |
W, E1, S, E2 |
서비스디자인 II (10.5차 교과과목명) |
||
4 |
1 |
전선 |
졸업작품 I |
3 |
1 |
4 |
W, E1, Y |
졸업고사과목 |
전선 |
졸업작품 II |
3 |
1 |
4 |
W, E1, L |
졸업고사과목 |
||
전선 |
디자인워크샵 I |
3 |
|
4 |
W, E1, L |
|
||
전선 |
프레젠테이션기법 |
3 |
|
4 |
W, E1, E2, Y |
스피치커뮤니케이션 (10.5차 교과목명) |
||
전필 |
전공진로상담 |
1 |
|
1 |
|
P/NP |
||
전선 |
마케팅 전략기획 |
3 |
1 |
2 |
|
예술대학 NCS 과목 |
||
2 |
전선 |
졸업작품 III |
3 |
1 |
4 |
W, E1, Y |
졸업고사과목 |
|
전선 |
졸업작품 IV |
3 |
1 |
4 |
W, E1, L |
졸업고사과목 |
||
전선 |
디자인워크샵 II |
3 |
|
4 |
W, E1, L |
|
||
전선 |
커리어플래닝&매니지먼트 |
3 |
|
4 |
W, E1, Y |
|
전체 학과 공통 편성
학년 | 학기 | 교과구분 | 교과목명 | 학점 | 시수 | 비고 | |
---|---|---|---|---|---|---|---|
이론 | 실기 | ||||||
2~4 | 1 | 전선 | 기업체예비취업 | P/3 | 3 | ||
전선 | 직무현장체험 | P/3 | 3 | ||||
전선 | 취업아카데미3,4 | P/3,3 | 3 | ||||
2 | 전선 | 기업체예비취업 | P/3 | 3 | |||
전선 | 직무현장체험 | P/3 | 3 | ||||
전선 | 취업아카데미3,4 | P/3,3 | 3 | ||||
4 | 1 | 전선 | 한미대학생교류1 | P/3 | 3 | ||
전선 | 한미대학생교류2 | P/6 | 6 | ||||
전선 | 한미대학생교류3 | P/15 | 15 | 기존(한미대학생교류) | |||
전선 | 현장실습1,2,3 | P/3,6,6 | 3,6,6 | P/NPI 120시간,240시간,240시간 |
|||
2 | 전선 | 한미대학생교류1 | P/3 | 3 | |||
전선 | 한미대학생교류2 | P/6 | 6 | ||||
전선 | 한미대학생교류3 | P/15 | 15 | 기존(한미대학생교류) | |||
전선 | 현장실습1,2,3 | P/3,6,6 | 3,6,6 | P/NPI 120시간,240시간,240시간 |
교과목 개요
- 조형실습 I & II (Form and Space I & II/2학점/3시간 D1,A,V,+)
공간과 입체적 형태의 기본적인 조형요소와 구성원리를 이해하고, 입체적 사고와 창의적인 표현능력을 기반으로 입체의 형태 및 구조에 대한 이해력 증진과 동시에 창의적 표현능력과 미적 조형감각을 배양한다.
-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I & II (Design Idea Development I & II/2학점/3시간 D1,A,V,+)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하고 일상의 주변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디자인적 시각으로 해결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 2D컴퓨터디자인 I & II (2D Computer Design I & II/2학점/3시간 D1,A,V,I,+)
컴퓨터에 의한 디자인의 기초 과목으로 개념적인 제품디자인을 생산에 적합하도록 치수화하는 AutoCAD Tool을 학습을 목표로 한다. 투상법과 제도에 관한 기본 규칙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AutoCAD의 2D Drawing을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도면능력을 고양하고 실무적응력을 배양한다.
- 스케치기법(Sketch Technic/2학점/3시간)
제품디자인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각화하는 단계로서, 드로잉에 대한 방법적 접근의 이해, 투시도법을 기초로 한 물체표현의 응용, 여러 가지 드로잉 재료 사용을 통한 사물표현방법의 다양한 이해 등을 목표로 한다.
- 디자인스튜디오 I & II (Design Studio I & II/3학점/5시간 D1,A,V)
기본적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디자인문제의 조사, 분석, 창조적 아이디어의 창출, 자료수집과 활용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등에 관련되는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을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 양식의 변화와 디자인 성립배경에 대해 연구하며 디자이너와 작품의 경황에 대해 강론한다.
- 디자인 & 테크놀로지 I & II (Design & Technology I & II/3학점/5시간 A,V,I)
산업혁명 이후 현대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산업디자인과 테크놀로지의 시대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그에 영향을 준 기술력과 디자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미래에 요구되는 디자이너의 가치관을 함양함을 목표로 한다.
- 모델링 I & II (Modelling I & II/2학점/3시간 D1,A,V,+)
완성된 생산 전 단계 제품의 모형제작 과정으로 합리적인 제작 공정과 가공기법, 재료의 물성, 마감방법, 모형 기계의 활용 범위 등을 숙지하고, 3D Printing 실습과도 연계하여 제품디자인의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한다.
- 재료와 디자인 (Material and Design/2학점/3시간 D1,A,V,D2)
제품화에 적용되는 다양한 디자인 재료와 특성, 용도, 표면처리 기술, 색채와 질감, 형태와 구조와의 관계 등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 3D컴퓨터렌더링 I & II (3D Computer Rendering I & II/2학점/4시간 D1,A,V,I,+)
2D 컴퓨터 응용디자인의 심화과정으로서, 3DS의 기술적인 측면의 이해와 활용을 통해 공간적 개념으로 확장시킨 3D 이미지의 구현 및 연출을 목표로 하며 이러한 표현 방법 등을 통해 현실감 있는 제품 렌더링 기법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 유니버설디자인 (Universal Design/2학점/3시간 D1,A,V,+)
장애의 유무나 연령, 성별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축, 환경, 서비스 등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으로서 모두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에 대한 사고력과 통찰력, 심미적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 제품색채론 (Product Chromatics/2학점/3시간 D1,A,V,D2)
색채에 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의 중요성 및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학습한다.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 기능적 측면, 조형적 측면, 전략적 측면에서 색채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이론과 색채실습을 병행한다.
- 융합디자인 I & II (Convergence Design I & II/3학점/5시간 A,V,I,+)
제품화에 적용되는 다양한 디자인 재료와 특성, 용도, 표면처리 기술, 색채와 질감, 형태와 구조와의 관계에 더하여 기술과 제품과의 결합, 기술과 서비스, 디자인과의 결합 등 나날이 진화하는 창의적 기술 기반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 환경제품디자인 I & II (Environment Product Design I & II/3학점/5시간 D1,A,V,+)
환경성과 기능성을 가진 아웃도어(Outdoor) 생활용품 및 레저용품을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디자인으로서 보다 효율적이며 구조 및 기능 그리고 인간 친화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함을 목표로 한다.
- 글로벌디자인트렌드분석 I & II (Global Design trend Analysis I & II/3학점/5시간 D1,A,V,I,D2)
한 해 동안의 다양한 디자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흐름을 읽어나가는 과정을 학습한다.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디자인의 큰 흐름을 알아가며 앞으로 제시할 디자인에 접목시킬 방향과 밑바탕이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공디자인 I & II (Public Design I & II/3학점/5시간 D1,A,V,+)
공공의 개념과 체계를 학습하고, 시장조사, 디자인 분석기법, 구조화, 도시공간의 아이덴티티, 시설물 디자인컨셉 도출에 관한 내용 등을 중심으로 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학습함으로써, 공공디자인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 중심 디자인 개발능력을 키운다.
- 사용자경험디자인 I & II (UX Design I & II/3학점/5시간)
모든 사용자의 잠재적 요구와 사용자 경험 및 관찰을 통하여 직관적을 높인 혁신적이며 인간을 배려할 수 있는 디자인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한다.
- 디자인사고 I & II (Service Design I & II/3학점/5시간 D1,A,V,D2)
디자인 문제요소의 복합적 관계를 논리적 관점에서 해결하는 디자인개발 과정을 학습한다. 종합적 디자인 해결안 제시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론에 의한 문제요소 해석 및 구체적인 기술현황을 기반으로 하여 창의적 응용력이라는 무형적 요소를 전제로 디자인을 진행한다.
- Presentation 기법(Presentation Technic/3학점/4시간 A,V,I,+)
디자인 작품의 논리적 설명과 화면의 레이아웃 구성능력은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디자인 작품에 필요한 발표력과 프리젠테이션 기술을 학습한다.
- 커리어 매니지먼트 (Career Management/3학점/4시간 D1,A,V,+)
다양한 매체와 방법들을 통한 디자인 프레젠테이션의 기법을 학습하고 전 학년의 실기과제물들을 일관된 레이아웃에 의하여 정리, 제작함으로써 개성 있는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게 된다.
- 디자인워크샵 I & II (Design Workshop I & II/3학점/4시간)
팀별 작업으로 산업디자인 전문회사를 가상으로 설립하여 디자인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회사설립에 필요한 회사의 자본, 회사명, CI 제작에서부터 각 구성원들이 맡은 직책을 전문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구성된 조직의 팀웍을 유기적으로 협력 도모한다.
- 졸업작품 I & II & III & IV (Work for Graduation I & II & III & IV /3학점/5시간 D1,A,V,D2,+)
디자인 실무에서 다루어지는 실무적 문제들을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정한 제품의 디자인과 관련되는 제반요인과 조건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최종 디자인을 창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아이디어 및 설계에 의한 패널 제작 및 모형을 제작한다.
계열 공통 교과목
- 현대디자인사 (History of Modern Design)/2학점/3시간
현대 건축 및 디자인의 변천사를 각 시대별 사회상과 더불어 재조명하여 디자인의 발전과정을 이해 토록 한다.
- 서양미술의 여행 (Journey in Western Art)/2학점/3시간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서양미술의 흐름을 작가, 작품, 사조를 통하여 개괄하고 미술과 디자인, 시각문화의 다양한 개념과 동향을 파악한다. 서양미술의 명작들의 이야기와 미술관 여행을 아우르며 미술사의 제 경향들과 연관된 문화적 의미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미술, 디자인의 중요한 흐름과 운동을 다룬다.
- 스케치기법(Sketch Technic) 2학점/3시간
제품디자인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각화하는 단계로서, 드로잉에 대한 방법적 접근의 이해, 투시도법을 기초로 한 물체표현의 응용, 여러 가지 드로잉 재료 사용을 통한 사물표현방법의 다양한 이해 등을 목표로 한다.
- 기초컴퓨터활용 (Basic Practical Computer) 2학점/3시간
가구디자인에 필요한 기초적인 컴퓨터 활용방법에 대해 배운다. 가구제품에 대한 Presentation 및 보드 제작에 필요한 그래픽 프로그램 Photoshop과 Illustrator 기초과정을 다룬다. 가구디자인에 꼭 필요한 그래픽프로그램을 통해 개인 디자인능력 향상에 기초를 다진다.
- 디자인기초1 (Basic Design Ⅰ) 2학기/3시간
시각디자인의 원리를 이해시키고 시각전달매체의 기초적 표현과정을 습득시키며 디자인 응용 능력을 기르기 위해 평면조형의 기능적 훈련을 바탕으로 하는 시각언어의 합리적 표현 능력을 배양하고 여러 가지 시각적 조형요소를 의도적으로 평면공간에 구성하는 능력을 기른다.
- 공간디자인연구 (Study of Space Design) 3학점/3시간
동/서양의 현대 건축 작품 및 기타 공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하며 더불어 공간디자인을 바라보는 감각적 사고능력을 강화 한다.
- 인터랙션디자인인터랙션디자인 I & II (In-teraction Design I & II) 2학점/3시간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디자인분야로서 주로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디자인 하는 것으로, 컴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 제품, 시스템의 행동과 사용자의 행동간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아트&디자인 콜라보레이션 (Art&Design Collaboration) 3학점/3시간
이론과 실기가 융합된 과목으로 크게 두 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디자인의 태동과 각국의 디자인의 역사와 흐름을 살펴본 후, 대중문화와 소비사회의 상품, 미술, 디자인이 융합한 아트&디자인 마케팅과 콜라보레이션 사례들을 이론적으로 살펴보는 이론 강의와 다양한 매체를 응용, 융합한 콜라보레이션 작품을 제작 하는 실기 강의가 병행된다. 개인 또는 팀 공동 작업으로 완성된 작품은 'art shop'을 열어 전시, 판매로 이어지는 과정을 실습하여 취업과 창업, 창작에 도움을 준다.
- 인간공학 (Ergonomics) 2학점/3시간
가구디자인에 필요한 인체 해부학, 심리학과 같이 인간과 관련된 학문을 연구하고 특히 가구디자이너들이 다루어야 할 가구, 실내 공간 분석 및 동선에 대한 연구를 하고 목공용 기계, 가구 제작 설비 등을 사용자들에게 알맞게 설계하고 제작하여 안전하고 능률적이고 편안한 삶이 될 수 있도록 연구한다.
- 사고와 발상1 (Thinking & Idea Ⅰ) 2학점/3시간
본 교과목은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여러 가지 기법과 시각적 사고능력, 표현전개능력 등에 관하여 디자인에 실질적으로 적용, 활용하여 풍부한 발상력과 미적 감성으로 창조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고와 발상1에서는 아이디어 발상훈련을 통한 시각화하는 방법을 익힌다.
전체 학과 공통 편성 교과목 개요
- 현장실습 1,2,3(Field Training1,2,3/3,6,6학점/120,240,240시간)
8학기 이상 재학생(직전학기까지 114학점 이상 이수 자) 최대신청학점 15학점, 학점당 근로시간 40시간을 기준으로 한다.(1일 8시간 *1주(5일):40시간) 현장실습1:3학점,120시간 이상, 현장실습2:6학점,240시간 이상, 현장실습3:6학점,240시간 이상으로 한다. 전공 관련 업체에 취업하기 전에 인턴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실무를 현장에서 익히고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다.
- 취업아카데미 3,4 (Career Development Academy3,4/참여시 Pass3학점/규정시간)
대학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실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실무교육을 실시하여 취업으로 연계한다. 이론 및 실습의 융합과정을 통해 기본, 실무 역량을 학습하여 업계의 수요에 맞는 현장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한다. 대상:4학년(주관 : 취업지원과)
- 기업체예비취업(Enterprise Preliminary Work/참여시 Pass 3학점/3시간)
학생들에게 직장체험을 통하여 다양한 직업탐색 및 현장경험 욕구를 충족시키고 진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 연수지원프로그램으로 2개월동안 주당 40시간의 직장체험을 하는 현장실습과목이다. 대상 : 2학년~4학년 (주관 : 취업지원과)
- 한미 대학생교류3(Work & English Study Travel3/참여시 Pass 15학점/15시간)
한미 대학생교류 프로그램(Work & English Study Travel)으로 어학연수와 인턴(intern)취업을 연계하여 대학생들에게 어학연수와 다양한 해외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여 경력 및 진로 설계를 돕고 글로벌 감각을 갖춘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참가자의 미국 체류기간은 최장 18개월이며, 일반적으론 4개월 동안의 어학연수와 6개월~13개월 유급인턴과정으로 어학연수와 인턴십의 장점이 있다. 선발은 교육부에서 하며 대상학기는 7, 8학기 재학생 이다. 단, 재학생 1인당 학점인정은 7,8학기중 1회에 한한다. 대상 : 4학년 (주관 : 취업지원과)
- 한미 대학생교류2(Work & English Study Travel2/참여시 Pass 6학점/6시간)
한미 대학생교류 프로그램(Work & English Study Travel)으로 어학연수와 인턴(intern)취업을 연계하여 대학생들에게 어학연수와 다양한 해외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여 경력 및 진로 설계를 돕고 글로벌 감각을 갖춘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참가자의 미국 체류기간은 최장 12개월이며, 일반적으론 3개월 동안의 어학연수와 6개월~8개월 유급인턴과정으로 어학연수와 인턴십의 장점이 있다. 선발은 교육부에서 하며 대상학기는 7, 8학기 재학생 이다. 단, 재학생 1인당 학점인정은 7,8학기중 1회에 한한다. 대상 : 4학년 (주관 : 취업지원과)
- 한미 대학생교류1(Work & English Study Travel1/참여시 Pass 3학점/3시간)
한미 대학생교류 프로그램(Work & English Study Travel)으로 어학연수와 인턴(intern)취업을 연계하여 대학생들에게 어학연수와 다양한 해외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여 경력 및 진로 설계를 돕고 글로벌 감각을 갖춘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참가자의 미국 체류기간은 6개월이며, 일반적으론 2개월 동안의 어학연수와 4개월 유급인턴과정으로 어학연수와 인턴십의 장점이 있다. 선발은 교육부에서 하며 대상학기는 7, 8학기 재학생 이다. 단, 재학생 1인당 학점인정은 7,8학기중 1회에 한한다. 대상 : 4학년 (주관 : 취업지원과)
- 직무 현장체험(Work Field Experience/참여시 Pass 3학점/3시간)
일정기간 동안 산업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이나 자질, 인성 등을 이해하고 업무 수행을 위한 기초 지식을 습득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고용노동부, 지자체 등에서 주관하며 학교에서 실시되는 직장체험 프로그램 참여 과목이다. 대상 : 2학년~4학년 (주관 : 취업지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