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인의 혼과 열정만 가져오세요.
학과소개
교육목적
국제적인 디자인 감각과 창의적 디자인 실무 능력을 갖춘 디자이너 그리고 지역사회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성과 지성을 갖춘 공감 리더형 공간디자이너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 영성을 바탕으로 한 봉사하는 공간디자이너 양성
- 사람과 사회를 배려하는 올바른 인성을 갖춘 합리적이고 창조적인 글로벌 공간디자이너 양성
-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수행 능력을 갖춘 실무형 공간디자이너 양성
인재상
- 인성, 영성, 지성을 갖춘 공감 리더 형 공간디자이너
-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창의적 공간디자이너
- 전문지식과 예술적 기량을 갖춘 창의적 공간디자이너
전공능력
창의적 사고 역량, 디자인 실무역량, 논리적 사고 역량, 문제해결 역량, 커뮤니케이션역량(의사소통역량)
졸업 후 진로
1. 공간디자인 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가구디자인, 디스플레이(VMD), 무대디자인 등의 디자인 전문회사
2. 건축설계사무소, 건설회사, 대기업 및 공공기관
3. 중․고등학교 디자인 교사
4. 대학원 진학 및 유학
전공 교육과정 이수 체계도
1) 체계적인 전공학습방법
◎ 교육과정 이수체계
◎ 교육과정 이수체계
예술대 | 교양 | 전공 | 기타(교양/전공/자선) | 졸업학점 | |||
---|---|---|---|---|---|---|---|
필수 | 예배 | 선택 | 필수 | 선택 | |||
12 | 3 | 16 | 26(전공진로설계와상담 총 2학점 포함) | 36 | 37 | 130 |
◎ 실내디자인학과 전공교육과정 이수체계
※ 실내디자인학과 전공 교육과정은 전공기초과정, 전공핵심과정 그리고 전공심화과정으로 구분된 전공 학습 로드맵에 따라 수강한다
※ 3학년 전공 심화과정 중 디자인리서치는 졸업작품연구의 선수 과목이다
※ 4학년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I, II, III, IV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1&2학에 걸쳐 의무적으로 수강한다
예술대 | 교양 | ||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12 | 31 | 26 | 81 |
※ 3학년 전공 심화과정 중 디자인리서치는 졸업작품연구의 선수 과목이다
※ 4학년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I, II, III, IV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1&2학에 걸쳐 의무적으로 수강한다
부전공 및 복수전공 안내
※ 복수전공 및 부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소속 학과)은 전공필수/전공선택 구분 없이 이수할 수 있다.
※ 복수전공, 부전공 또한 전공필수/전공선택 구분 없이 이수할 수 있다.
※ 실내디자인학과 부전공 및 복수전공은 별도의 졸업시험은 졸업작품으로 대체한다.
복수전공 | 부전공 | ||
---|---|---|---|
일반/융복합 : 복수전공 | 일반/융복합/연계 : 부전공 | ||
제1전공 | 일반/융복합 복수전공 |
제1전공 | 일반/융복합/연계 부전공 |
(전필+전선) 구분 없이 이수 | |||
48 + 2 = 50 (전공진로설계와 상담(2)) | 36 | 62 | 21 |
실내디자인학과 내규 ① 졸업시험 내규
- 졸업작품 교과목 수강은 학칙시행세칙(제113조 졸업고사 응시자격)에 따른다.
- 3학년 ‘디자인리서치’ 는 졸업작품 선수과목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4학년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스튜디오 1, II, III & IV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동반 수강해야 한다.
- 졸업작품은 타 학과의 졸업 논문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졸업작품의 심사, 전시 일정과 장소는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졸업예정자는 졸업작품을 1인 2점(개인 1점, 그룹 1점)을 제출해야 하며, 반드시 졸업작품집에 해당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졸업작품은 교내에서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지도교수의 지도를 정기적으로 받는 과정이 없는 졸업예정자의 작품은 완성도에 상관없이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단, 취업을 하였을 경우에 한하여 예외로 한다.이 경우 학과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4학년 1학기 개설된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I, II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2학기 졸업작품 III, IV를 동반 수강해야 한다. (단, 학점 관계상 부득이하게 동반 수강이 불가할 때는 해당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교과과정 이수에 대한 내규
- 학년 별 교과목에 표기된 과목 중 전공필수 26학점과 전공선택 60학점 이상(전체 수강과목의 80%)을 본 학과 전공과목으로 이수한 자에 대해서만 졸업예정자로 인정하여 졸업 작품 수행을 할 수 있다.
③ 계열공통(기초) 과정 이수에 대한 내규
- 디자인 전공 4개 학과(실내디자인/산업디자인/시각디자인/가구디자인)의 1, 2학년생은 계열공통(기초)과정을 학기마다 1과목씩 이수하도록 하며, 계열공통(기초) 교육과정의 각 교과목 수강생의 인원을 25명 이하로 제한하고, 25명 이상일 때는 반드시 분반하도록 한다.
- 졸업작품 교과목 수강은 학칙시행세칙(제113조 졸업고사 응시자격)에 따른다.
- 3학년 ‘디자인리서치’ 는 졸업작품 선수과목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4학년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스튜디오 1, II, III & IV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동반 수강해야 한다.
- 졸업작품은 타 학과의 졸업 논문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졸업작품의 심사, 전시 일정과 장소는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졸업예정자는 졸업작품을 1인 2점(개인 1점, 그룹 1점)을 제출해야 하며, 반드시 졸업작품집에 해당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졸업작품은 교내에서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지도교수의 지도를 정기적으로 받는 과정이 없는 졸업예정자의 작품은 완성도에 상관없이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단, 취업을 하였을 경우에 한하여 예외로 한다.이 경우 학과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4학년 1학기 개설된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I, II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2학기 졸업작품 III, IV를 동반 수강해야 한다. (단, 학점 관계상 부득이하게 동반 수강이 불가할 때는 해당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교과과정 이수에 대한 내규
- 학년 별 교과목에 표기된 과목 중 전공필수 26학점과 전공선택 60학점 이상(전체 수강과목의 80%)을 본 학과 전공과목으로 이수한 자에 대해서만 졸업예정자로 인정하여 졸업 작품 수행을 할 수 있다.
③ 계열공통(기초) 과정 이수에 대한 내규
- 디자인 전공 4개 학과(실내디자인/산업디자인/시각디자인/가구디자인)의 1, 2학년생은 계열공통(기초)과정을 학기마다 1과목씩 이수하도록 하며, 계열공통(기초) 교육과정의 각 교과목 수강생의 인원을 25명 이하로 제한하고, 25명 이상일 때는 반드시 분반하도록 한다.
(2) 이수체계도
구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진로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공기초과정 | 기초제도 | CAD 1 | CAD 2 | 3D렌더링1 | 국/내외 공간디자인 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가구디자인 디스플레이 무대디자인 등의 디자인 전문회사 대기업 및 공공기관 건설회사 건축설계사무소 중/고등학교 디자인 교사 대학원 진학 및 유학 |
||||
기초공간디자인1 | 공간조형 | ||||||||
기초컴퓨터 | 기초공간디자인 2 | ||||||||
공간디자인개론 | 공간디자인사 | ||||||||
전공진로설계와상담 1 | |||||||||
전공핵심과정 | 상업공간디자인 1 | 상업공간디자인 2 | 업무공간디자인 | 공간구조및시공2 | |||||
공간색채및재료 1 | 공간과조명 2 | 공간구조및시공 1 | |||||||
공간과조명 1 | 공간색채및재료 2 | 주거공간디자인 | |||||||
공간과가구 | 공간과문화 | 3D렌더링2 | |||||||
공간디자인연구 | 전공진로설계와상담2 | VMD | |||||||
전공심화과정 | 공간과오브제 | 공간디자인스튜디오I | 졸업작품스튜디오1 | 졸업작품스튜디오3 | |||||
VR/AR스페이스디자인 | 졸업작품스튜디오2 | 졸업작품스튜디오4 | |||||||
디자인리서치 | 비쥬얼커뮤니케이션 | 공간디자인창업 | |||||||
공간디자인세미나 | 포트폴리오 | ||||||||
전공진로설계와상담1 |
취득가능 자격증 및 자격증 취득 관련 이수 교과목
자격증/시험명칭 | 주관기관 | 이수과목 |
---|---|---|
실내건축산업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공간디자인사, 공간재료, 공간 조명계획, 공간색채계획, 공간구조 및 시공, 실내건축 법규 및 적산 |
실내건축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
건축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
실내디자이너 | 국가공인자격증 | |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기술자격증) | 기초컴퓨터디자인, 디지털 드라프팅1.2, 3D랜더링1.2, 디지털디자인테크닉, 비주얼커뮤니케이션 |
컬러리스트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기술자격증) | 공간색채계획, 공간마케팅과 창업 |
ATC 1,2급 | 한국 ATC센터 | 디지털 드라프팅1.2 |
GTQ 자격증 | 한국생산성본부 | 기초컴퓨터디자인 |
문화예술 교육사 2급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에술교육진흥원 |
문화예술교육론, 디자인교육론, 디자인교수학습방법, 디자인교육프로그램개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예술 관련 분야별해당분야의 전공과목(10과목이상) |
ACU | Autodesk | 디지털 드라프팅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