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에서 영성으로! 웨슬리의 후예들이 복음을 위해 향해를 시작합니다. 학과소개 교육과정소개 교수소개 fnctId=prof,fnctNo=1 교수명 내용 1) 학력 감리교신학대학교(B.Th.) / 연세대학교(B.A.)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M.) 미국 Asbury Theological Seminary(M.Div., Ph.D.) 2) 전공 및 주요 수업 전공: 선교학/전도학 주요수업: 선교학개론, 선교와문화, 종교학개론, 에큐메닉스, 교회갱신세미나, 교회성장학, 현대선교동향세미나, 선교학고전강독, 웨슬리선교신학세미나, 현대선교신학자연구, 선교와 성경, 선교리더십, 교회현장세미나. 3) 대내외 직책 교내: 기획처장 교외: 한국선교신학회 회장, 로잔교수회 회장, 한국교회선교연구소 소장, 감리교선교국 전문위원, 세계선교협의회 전문위원. 4) 출판 도서 번역서: 선교암호 해독하기(2010), 켈트 전도법(2012), 선교적 교회 만들기(2013), 선교적 교회 입문(2014), 보냄받음(2015), 변화에 무너지는 교회 변화에 성공하는 교회(2016), 선교적 교회 탐구(2017), 언약의 제자도(2019) 등 5) 주요논문 The Involvement of Korean Protestant Mission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2), Missional Insights and Applications from Lewis R. Rambo's Understanding Religious Conversion (신학과 실천, 2012), An Exemplary Exegesis for Preaching the Essence of the Gospel based on 1 Corinthians 15:1-4.(신학과 실천, 2012), A Biographical Study of Missionary Henry G. Appenzeller Based on Daniel M. Davies’ Six Stages of Founding Methodism in Korea―His Missiological Contribution and Weakness (선교신학, 2013), A Study on Equipping the People of God for the Laos(λαο)-driven Church (선교신학, 2015)/ 효과적인 평신도 훈련과 사역을 위한 제언 (신학과 실천, 2009)/ 평신도 훈련과정을 통한 파트너십의 변화 (신학과 실천, 2009)/ 미디어 선교를 통한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선교신학, 2011)/ 한국 기독교 사회적 기업 연구 (신학과 실천, 2012)/ The Rainer Scale 을 통해 본 한국불신자 유형조사와 효과적인 전도를 위한 선교적 통찰(신학과 실천, 2013)/ 성공적인 평신도 전문인 선교를 위한 선교학적 통찰 및 제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3)/ 선교 공동체로서의 농촌교회와 통전적 선교 가능성 연구 (선교신학, 2014)/ St. Patrick의 켈트 전도법과 청소년 이해에 기초한 효과적인 전도전략 연구- 한국 10대 청소년 전도를 중심으로 - (신학과 실천, 2015)/ 한국의 선교적 교회들로부터 얻는 선교적 통찰: 선교적 교회의 일곱 기둥들 (선교신학, 2017)/ “Fresh Expressions of Church”의 선교적 통찰 (선교신학, 2018)/ 한국교회의 상생협력 사례연구를 통한 선교적 통찰 및 제언 (선교신학, 2019)/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래와 한국교회의 갱신 (선교신학, 2020), 국내 이주민 선교사 제도의 필요성과 가능성 (선교신학, 2021), 한국선교신학회와 선교적 교회론 (선교신학,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