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배경 및 목표
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인증제 실시 배경
- 대학의 인재상과 정합성을 이루는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 4차 산업혁명시대라는 전 지구적 차원의 대외적 여건 변화
- 국가, 기업, 지역사회 및 학생이 요구하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필요성
- 미래사회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고도화 요구
- 지역사회 현장 밀착형 실무인재양성을 위한 사회적 요구 반영의 필요성
- 외국인 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로드맵 구축의 필요성
- 교육품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성과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인증 목표
- 대학의 인재상과 정합성을 이루는 웨슬리언교육과정(교양/전공/비교과) 시스템 구축
- 4차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역량기반 교양/비교과 교육과정 로드맵 구축
- 초고속으로 변화·성장하는 일자리 지형에 탄력적으로 대처가능한 교육과정 로드맵 구축
- 6대핵심역량(웨슬리역량) 기반 교양/전공/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구축
- 지역사회 현장 전문가 네트워크 활용 교육과정 체계 구축
- 외국인 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셜 교육과정 로드맵 구축
- 교육품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및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2.교육과정 개정 및 인증 모델과 인증절차
1) 웨슬리언교육과정인증 모델
2) 소영역별 웨슬리언교육과정인증 절차
(1) 웨슬리창의융합대학 교육과정
교양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교육과정 인증 모델
융복합트랙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교육과정 인증 모델
교양 및 융복합트랙 교과목 기초인증 모델
교양 및 융복합트랙 교과목 심화인증 모델
(2) 전공교육과정
전공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교육과정 인증 모델
전공교과목 기초인증 모델
전공교과목 심화인증 모델
3.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인증제 추진 로드맵과 기대효과
1) 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인증제 추진 현황
년도 | 추진내용 |
---|---|
2017 | - 교육혁신원 교육질관리센터 설립 - 교육질관리시스템 구축 - 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인증제 준비 - 교육과정 기초인증 시행 - 교과목 심화인증 시행 |
2018 | - 교육과정 인증제 - 교육과정 성과인증 준비 |
2020 | - 비교과교육과정 성과인증 시행 |
2021 | - 전공교육과정 기초인증 시행 - 교과목 기초인증 시행 - 비교과교육과정 기초인증 시행 |
2) 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인증제 실시에 따른 기대효과
- 대학의 인재상과 정합성을 이루는 웨슬리언교육과정(교양/전공/비교과) 운영을 통한 교육목표의 달성
- 4차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지형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공 전문성과 실무역량을 갖춘 인재양성 배양
- 6대핵심역량(웨슬리역량) 기반 교양·융복합/전공/비교과 교육과정 시스템을 통한 균형있는 미래사회 핵심역량 강화
- 웨슬리창의융합대학의 융복합교육과정을 통한 창의융합인재양성
- 지역사회 및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융합 인재양성
- 외국인 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재학생 모두 글로벌공동체역량을 갖춘 인재양성
- 웨슬리언교육과정을 통한 창의융합인재 양성으로 건학이념 추구
- 우수한 교육과정, 교육품질을 통한 교육만족도 제고
4. 교육과정 인증위원회의 구성과 인증절차
1) 교육과정 인증제 관련 위원회의 구성
학과(전공)단위 교육과정 소위원회(신설예정)
- 학과(전공) 학과장(위원장)
- 학과교수(위원)
- 외부인원
전공교육과정위원회
- 학장(위원장)
- 학과장(위원)
융복합트랙단위 교육과정 소원위원회(신설 예정)
- 융복합트랙 주임(위원장)
- 융복합트랙 교과목담당교수(위원)
교육과정위원회
- 교무처장(위원장)
- 단대학장 및 교육혁신원장(위원)
교양교육과정위원회
- 웨슬리창의융합대학장(위원장)
- 단대학장 및 교육질관리센터장, 교육혁신원장, 융복합트랙주임대표(위원)
부서단위 비교과교육과정소위원회(신설 예정)
-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부서장(위원장)
- 운영위원 및 담당교직원(위원)
비교과통합운영위원회
- 교육혁신원 교육질관리센터장(위원장)
- 교육혁신원 운영위원(위원)
교육과정 인증위원회(7인)
- 교육혁신원 질관리센터장(위원장)
- 교육혁신원 운영위원(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