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가구디자인학과에서는 재학생들에게 교육을 통해 현대 가구 및 가구 관련 산업을 선도하는 국제적 소양의 디자이너와 작가(진학)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질을 함양시킨다. 기독교 정신인 믿음과 사랑과 봉사를 통해 사회적 책임의식을 고취하고 참 된 진리를 가르치고 학생들에게 영성을 바탕으로 바른 인성을 교육하고 가구디자이너로서 전문교육을 통해 국가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교육목적이 있음
교육목표
- 영성을 바탕으로 봉사하는 가구디자이너 양성
- 인격과 리더십을 갖춘 국제적 소양의 가구디자이너 양성
-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능력이 있는 가구디자이너 양성
인재상
- 인성, 영성, 지성을 갖춘 공감 리더형 가구디자이너 양성
- 인격과 리더십을 갖춘 국제적 소양의 가구디자이너 양성
-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능력이 있는 가구디자이너 양성
전공능력
창의적 사고 역량, 디자인 실무역량, 문제해결 역량, 커뮤니케이션역량(의사소통역량)
졸업 후 진로
가. 가구디자인회사, 가구제작회사, 가구디자인 프리렌서, 가구공방운영(작가활동)
나. 디스플레이(V·M·D), 무대디자이너, 홈 코디네이터
다. 대학원 진학, 유학
교육과정 이수체계
예술대 | 교양 | 전공 | 기타(교양/전공/자선) | 졸업학점 | |||
---|---|---|---|---|---|---|---|
필수 | 예배 | 선택 | 필수 | 선택 | |||
이수학점수 | 12 | 3 | 16 | 26 | 36 | 37 | 130 |
편성 과목 수 | 편성 학점 수 | ||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12 | 37 | 26 | 88 |
교육과정 이수체계도
취득가능 자격증 및 자격증 취득 관련 이수 교과목
자격증/시험명칭 | 주관기관 | 이수과목 |
---|---|---|
가구설계제도사 | 대한상공회의소 (국가공인자격증) |
가구기초제도, 가구CAD, 가구실무와설계 |
가구제작기능사 2급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가구제작기법연구, 툴테크닉및목공기계연구, 우드워킹가이드 |
목공예기능사 2급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가구제작기법연구, 툴테크닉및목공기계연구, 우드워킹가이드 |
컬러리스트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기술자격증) | 색채학 |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기초컴퓨터활용, 응용컴퓨터활용, 3D가구시뮬레이션 |
ATC 1,2급 | 한국 ATC센터 | 가구CAD |
GTQ 자격증 | 한국생산성본부 | 기초컴퓨터활용, 응용컴퓨터활용 |
ACU | Autodesk | 가구CAD |
부전공 및 복수전공 안내
가. 복수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자신의 소속 학과), 복수전공은 전필, 전선 구분 없이 이수 한다.
나. 부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자신의 소속 학과)과 부전공의 전공필수 학점을 포함하여 이수한다.
다. 가구디자인학과를 복수전공으로 한 학생은 졸업시험(작품) 2개 교과목, 부전공으로 한 학생은 졸업시험(작품) 1개 교과목으로 한다.
구분 | 복수전공 | 부전공 | ||
---|---|---|---|---|
제1전공 | 복수전공 | 제1전공 | 부전공 | |
이수학점 | 50학점 | 36학점 | 62학점 | 21학점 |
전공필수, 전공선택 이수 구분 없음 | 전공필수 최소 이수학점 포함 |
가구디자인학과 졸업시험 내규 가. 졸업고사(졸업작품)를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은 7학기 이상 정규 등록한자 중 졸업에 필요한 최소 이수 기준 학점 취득이 가능한 자에게 있다.(제113조. 졸업고사 응시자격)
나. 졸업작품은 타 학과의 졸업 논문(시험)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반드시 졸업전시회 출품과 졸업작품집 수록이 되어야 졸업고사로 인정한다. (취업자 포함)
다. 졸업작품은 교내에서 지도교수의 정기적인 지도아래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지 않은 졸업예정자의 작품은 완성도에 상관없이 졸업작품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단, 취업을 하였을 경우, 학과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라. 졸업작품은 60점 기준으로 Pass 또는 Non pass로 심사하며, 심사일정과 장소는 학과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마. 3학년 ‘공간과가구디자인1,2’는 졸업작품 선수과목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바. 졸업예정학생은 ‘조형가구디자인’과 ‘산업가구디자인’ 중 택1, ‘리빙디자인’과 ‘실내가구계획’ 중 택1을 하여 2개 교과목을 졸업작품으로 응시해야 한다.
사. 4학년에 개설된 전공심화과정 중 ‘조형가구디자인1과2’, ‘산업가구디자인1과2’, ‘리빙디자인1과2’, ‘실내가구계획1과2’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동반 수강해야 한다. (단, 휴ㆍ복학, 재입학, 유급 등 부득이하게 학점 관계상 순차적 동반 수강이 불가할 때는 학과교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2022년 학과 개편에 따른 ‘생활공간디자인학과’ 전공으로 졸업(2024학년도 까지)하는 대상자의 경우 생활공간디자인학과 전공심화 과정 중 ‘졸업고사1과3, 졸업고사2와4’과목을 졸업작품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동반수강하고 기타 내규는 준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한다.
교과과정 이수에 대한 내규 가. 가구디자인학과 교육과정 이수 체계도에 따라 이수한다.
나. 가구디자인학과에서 편성된 전체 학년별 전공교과목 중 전공필수 26학점과 전공선택 36학점 이상 이수한 자에 대해서 졸업작품 심사 대상자로 인정하며, 졸업고사에 응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