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실내디자인학과는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디자인 시대에 맞추어 사람을 위한 공간을 이해하고 트랜드를 파악하여 창의적인 실내공간을 디자인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디자이너를 육성하고, 초정보화로 연결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진취적이고 열린사고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새로운 이론과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인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공감리더형 실내디자이너 인재를 양성를 목적으로한다.
교육목표
- 영성을 바탕으로 한 봉사하는 공간디자이너 양성
- 사람과 사회를 배려하는 올바른 인성을 갖춘 합리적이고 창조적인 글로벌 공간디자이너 양성
-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수행 능력을 갖춘 실무형 공간디자이너 양성
인재상
- 인성, 영성, 지성을 갖춘 공감 리더 형 공간디자이너
-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창의적 공간디자이너
- 전문지식과 예술적 기량을 갖춘 창의적 공간디자이너
- 실무 직무력량을 갖춘 맞춤형인재
전공능력
창의적 사고 역량, 디자인 실무역량, 논리적 사고 역량, 문제해결 역량, 커뮤니케이션역량(의사소통역량)
졸업 후 진로
국·내외 실내공간디자인, 전시디자인, 무대디자인, 디스플레이, 주거공간, 상업공간 등의 디자인 전문회사/ 중·대기업 디자인실/건축설계사무소/건설회사/가구디자인/VMD/공공기관/방송국/브랜딩 디자인회사/환경디자인/공간코디네이터/가상공간디자인회사/3d 디자인회사/ 대학원 진학 및 유학 등
전공 교육과정 이수 체계도
1) 체계적인 전공학습방법
◎ 교육과정 이수체계
◎ 교육과정 이수체계
예술대 | 교양 | 전공 | 기타(교양/전공/자선) | 졸업학점 | |||
---|---|---|---|---|---|---|---|
필수 | 예배 | 선택 | 필수 | 선택 | |||
12 | 3 | 16 | 26(전공진로설계와상담 총 2학점 포함) | 36 | 37 | 130 |
◎ 실내디자인학과 전공교육과정 이수체계
※ 실내디자인학과 전공 교육과정은 전공기초과정, 전공핵심과정 그리고 전공심화과정으로 구분된 전공 학습 로드맵에 따라 수강한다
※ 3학년 전공 심화과정 중 디자인리서치는 졸업작품연구의 선수 과목이다
※ 4학년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1,2,3,4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1-2학에 걸쳐 의무적으로 수강한다.
개설 과목 수 | 개설 학점 수 | ||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12 | 31 | 26 | 81 |
※ 3학년 전공 심화과정 중 디자인리서치는 졸업작품연구의 선수 과목이다
※ 4학년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 1,2,3,4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1-2학에 걸쳐 의무적으로 수강한다.
부전공 및 복수전공 안내
※ 복수전공 및 부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소속 학과)은 전공필수/전공선택 구분 없이 이수할 수 있다.
※ 복수전공, 부전공 또한 전공필수/전공선택 구분 없이 이수할 수 있다.
※ 실내디자인학과 부전공 및 복수전공은 별도의 졸업시험은 졸업작품으로 대체한다.
복수전공 | 부전공 | ||
---|---|---|---|
일반/융복합 : 복수전공 | 일반/융복합/연계 : 부전공 | ||
제1전공 | 일반/융복합 복수전공 |
제1전공 | 일반/융복합/연계 부전공 |
(전필+전선) 구분 없이 이수 | |||
48 + 2 = 50 (전공진로설계와 상담(2)) | 36 | 62 | 21 |
실내디자인학과 졸업시험 내규 - 졸업고사(졸업작품) 심사 대상자의 자격은 학기 기준과 학점기준을 모두 충족(학칙 제113조)한 자에게 부여한다.
- 3학년 ‘디자인리서치’는 졸업작품 선수과목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분과에 따른 생활공간디자인학과 4학년 대상자의 경우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스튜디오 I, II, III & IV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동반 수강해야 한다.
- 졸업작품은 타 학과의 졸업 논문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졸업작품의 심사, 전시 일정과 장소는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졸업예정자는 졸업작품을 1인 2점(개인 1점, 그룹 1점)의 졸업작품심사를 통과하여야 하며 작품전시, 작품집(도록)에 해당 작품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졸업작품은 교내에서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정기적인 지도교수의 지도과정이 없는 졸업예정자의 작품은 그 완성도와 상관없이 인정하지 아니한다.
- 4학년1-2학기 전공심화 교과과정 중“졸업작품스튜디오1,2는 졸업 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써 반드시 2학기 “졸업작품스튜디오3,4”와 동반 수강하여야 한다.
(단, 휴.복학, 유급 및 재입학 등 부득이하게 학점관계상 순차적인 동반수강의 불가할 때는 해당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3학년 ‘디자인리서치’는 졸업작품 선수과목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 분과에 따른 생활공간디자인학과 4학년 대상자의 경우 전공심화과정 중 졸업작품스튜디오 I, II, III & IV는 졸업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 반드시 동반 수강해야 한다.
- 졸업작품은 타 학과의 졸업 논문과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졸업작품의 심사, 전시 일정과 장소는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졸업예정자는 졸업작품을 1인 2점(개인 1점, 그룹 1점)의 졸업작품심사를 통과하여야 하며 작품전시, 작품집(도록)에 해당 작품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졸업작품은 교내에서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이뤄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정기적인 지도교수의 지도과정이 없는 졸업예정자의 작품은 그 완성도와 상관없이 인정하지 아니한다.
- 4학년1-2학기 전공심화 교과과정 중“졸업작품스튜디오1,2는 졸업 작품을 위한 연계과목으로써 반드시 2학기 “졸업작품스튜디오3,4”와 동반 수강하여야 한다.
(단, 휴.복학, 유급 및 재입학 등 부득이하게 학점관계상 순차적인 동반수강의 불가할 때는 해당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이수체계도
구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진로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공기초과정 | 기초제도 | CAD 1 | CAD 2 | 전공진로설계와상담2 | 국·내외 실내공간디자인/전시디자인/무대디자인/디스플레이/주거공간/상업공간/ 중·대기업 디자인실/건축설계사무소/건설회사/가구디자인/VMD/공공기관/방송국/브랜딩디자인회사/환경디자인/공간코디네이터/가상공간디자인회사/3D디자인회사/ 대학원진학 및 유학 |
||||
기초공간디자인1 | 기초공간디자인2 | 공간과가구 | |||||||
기초컴퓨터 | 공간디자인사 | ||||||||
공간디자인개론 | 공간조형 | ||||||||
전공진로설계와상담 1 | |||||||||
전공핵심과정 | 상업공간디자인 1 | 상업공간디자인 2 | 업무공간디자인 | 디지털디자인테크닉 | |||||
공간색채및재료 1 | 공간색채및재료 2 | 공간구조및시공 1 | 공간구조및시공2 | ||||||
공간과조명 1 | 공간과조명 2 | 주거공간디자인 | |||||||
공간디자인연구 | 공간과문화 | 3D렌더링2 | |||||||
전공심화과정 | VMD | 공간디자인스튜디오I | 졸업작품스튜디오1 | 졸업작품스튜디오3 | |||||
공간과오브제 | VR/AR스페이스디자인 | 졸업작품스튜디오2 | 졸업작품스튜디오4 | ||||||
디자인리서치 | 비쥬얼커뮤니케이션 | 포트폴리오 | |||||||
환경행태심리 | 공간디자인세미나 | 공간디자인창업 | |||||||
전공진로설계와상담2 | 전공진로설계와상담1 |
취득가능 자격증 및 자격증 취득 관련 이수 교과목
자격증/시험명칭 | 주관기관 | 이수과목 |
---|---|---|
실내건축산업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공간디자인사, 공간재료, 공간 조명계획, 공간색채계획, 공간구조 및 시공, 실내건축 법규 및 적산 |
실내건축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
건축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증) |
|
실내디자이너 | 국가공인자격증 | |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기술자격증) | 기초컴퓨터디자인, 디지털 드라프팅1.2, 3D랜더링1.2, 디지털디자인테크닉, 비주얼커뮤니케이션 |
컬러리스트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기술자격증) | 공간색채계획, 공간마케팅과 창업 |
ATC 1,2급 | 한국 ATC센터 | 디지털 드라프팅1.2 |
GTQ 자격증 | 한국생산성본부 | 기초컴퓨터디자인 |
문화예술 교육사 2급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에술교육진흥원 |
문화예술교육론, 디자인교육론, 디자인교수학습방법, 디자인교육프로그램개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예술 관련 분야별해당분야의 전공과목(10과목이상) |
ACU | Autodesk | 디지털 드라프팅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