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미디어영상광고학과는 방송, 영상제작 및 신문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와 인터넷, 모바일, 웹 등 디지털 미디어뿐만 아니라 광고, 홍보와 같은 전략적 기업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며 이에 조응하는 실무적인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믿음, 사랑, 봉사의 정신을 갖춘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 봉사와 사랑을 기반으로한 미디어 전문인력 양성
- 전문성과 능력을 갖춘 영상인력 양성
- 창의성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광고·홍보인 양성
인재상
- 창의성과 전문성을 가진 인재
- 봉사와 사랑을 가진 인재
-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인재
전공능력
- 전문적 미디어 전문지식과 기술, 미디어윤리 의식
- 문제조사 및 분석능력, 정보활용 능력
- 창의적 기획 및 프로그램개발 능력, 글로벌 리더십
졸업 후 진로
- 국내 유수의 종합광고대행사 및 홍보대행사
- 지상파 방송국 및 케이블 텔레비전 프로듀서, 제작자 등
- 신문사, 잡지사, 인터넷 신문, 웹진 등 기자, 편집자
- 인터넷 포털 및 모바일 관리자
- 1인 미디어 창작자 및 창업
- 공무원, 일반회사 등에서 홍보담당자
- 기타
전공 교육과정 이수 체계도
1) 체계적인 전공학습방법
- 전공필수 17학점 이수, 전공선택과목 39학점 이상, 선수과목은 전공필수과목임(핵심과정, 심화과정 중 일부는 선수과목을 이수하지 않으면 수강할 수 없음)
- 복수전공 36학점 이상, 부전공 24학점 이상, 그리고 융복합과정(미디어콘텐츠창작과정) 복수전공, 부전공 모두 가능함. 융복합과정은 문예창작학과와 공동으로 개설하기 때문에 문예창작학과의 일부과목만 이수하면 융복합 복수전공, 부전공을 인정받기 때문에 우리 학과는 유리함.
2) 이수체계도 기본 틀
전공능력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진로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전문적 미디어 지식과 기술 문제조사 및 분석능력 창의적기획 및 프로그램개발 능력 |
기초과정 | 영상의 이해 | 통합마케팅의이해 | 국내 유수의 종합광고대행사 및 홍보대행사 지상파 방송국 및 케이블 텔레비전 프로듀서, 제작자 등 신문사, 잡지사, 인터넷 신문, 웹진 등 기자, 편집자 인터넷 포털 및 모바일 관리자 1인 미디어 창작자 및 창업 공무원, 일반회사 등에서 홍보담당자 |
||||||
광고의 이해 | 미디어의 이해 | |||||||||
인터넷과 모바일 | 현대방송의 이해 | |||||||||
핵심과정 | PR의 이해 | 글로벌미디어경영 | AI와영상제작실습 | 광고PR캠페인 | ||||||
휴먼커뮤니케이션 | 대중문화 | 미디어조사 | UCC제작실습 | |||||||
광고카피 | 광고기획과크리에이티브 | AI와광고PR | AI와미디어콘텐츠 | |||||||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 |
프리미어와 영상편집 |
방송영상 제작실습 |
애프터이팩트와 모션그래픽 |
|||||||
데이터과학과미디어 | 디지털저널리즘 | 미디어글쓰기 | 미디어리터러시 | |||||||
영상제작실습기초 | 영상기획과스토리텔링 | 미디어심리학 | 매체기획 | |||||||
심화과정 | AI와영화제작실습 | 미디어창업 | ||||||||
디지털시대출판 | 영상캡스톤디자인 | |||||||||
BTL 마케팅 | 소셜미디어캡스톤디자인 | |||||||||
미디어와광고의역사 | 영상미학 | |||||||||
광고캡스톤디자인 | 전자출판 | |||||||||
웹콘텐츠기획과마케팅 | 미디어정책과법 |
취득가능 자격증 및 자격증 취듯 관련 이수 교과목
자격증/시험명칭 | 주관기관 | 이수과목 |
---|---|---|
영상제작 전문인 자격 | 한국영상전문인자격원 | 영상의 이해, 프리미어와 영상 편집, 방송영상제작실습, 영상미학 |
전자출판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 디지털시대출판, 전자출판, 소셜미디어캡스톤 디자인 |
브랜드지도관리사 | 사단법인 브랜드마케팅협회 | 광고의 이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광고캡스톤 디자인 |
부전공 및 복수전공 안내
1) 복수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자신의 소속학과), 복수전공은 전필, 전선 구분 없이 이수 할 수 있다.
2) 2016학번부터는 부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자신의 소속학과)은 전필, 전선 기본이수학점을 이수하고, 부전공은 전필, 전선 구분 없이 이수 할 수 있다.
복수전공 | 부전공 | ||||
---|---|---|---|---|---|
일반/융복합 : 복수전공 | 일반/융복합/연계 : 부전공 | ||||
제1전공 | 일반/융복합복수전공 | 제1전공 | 일반/융복합/연계부전공 | ||
~ 2015학번 | 48 | 36 | ~ 2015학번 | 66 | 21 |
2016학번 ~ | 44 *신학/예술 50 |
2016학번 ~ | 56(전필 20, 전선 36) *신학/예술 62(전필 26, 전선 36) |
【졸업고사 응시자격】
졸업고사를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은 다음의 각 호를 충족하여야 한다.(개정 2013.6.14.)
1. 7학기 이상(조기졸업자는 6학기이상) 정규등록한자 중 졸업에 필요한 최소 이수 기준(총 이수학점, 전필 및 전선 이수학점, 복수전공 및 부전공 이수학점 등)학점 취득이 가능한 자.
2. 위의 1항의 자격을 갖춘 자 중, 학과의 <졸업고사 내규>에 명시된 졸업고사 응시자격을 갖춘 자.
(조개정 2010.12.22.) (개정 2017.6.7.) (조 개정 2017.11.08.)
제1조 졸업학기에 해당하는 학생은 다음 중 하나의 졸업고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1) 졸업논문 : 25페이지 이상으로 논문의 형식을 갖춘 것
2) 졸업작품
- 인쇄광고 1점과 영상광고 1점 총 2점
- 5분 이내의 영상물(자유주제)
3) 대외 공모전 1회 이상 수상(교내 불인정)
- 교내 광고제는 불인정함
- 공모전은 정식대회 공모전이어야 함. 장려상 이상을 수상해야 함(인기상 제외)
- 인정 기간 : 입학 이후 1학년에서 4학년 전 기간
4) 외국어 능력 시험
① IBT 토플 : 65점 이상(CBT제외)
② 토익 : 700점 이상
③ 중국어 : HSK 6급 이상
④ 일본어 : JPT 600점 이상, JLPT 2급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