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적
아동보육학과는 아동보육의 사회적 책임과 사명을 다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보육교사를 양성하는데 교육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영유아와 가족에 대한 제반지식을 습득하고 아동보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학습할 뿐 아니라, 실제적으로 적용하고 평가하는 경험을 통해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 전문적인 보육교사의 양성
- 아동을 존중하는 보육교사의 양성
- 사회에 봉사하는 보육교사의 양성
인재상
- 아동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보육교사
- 아동보육의 발전을 선도하는 전문성을 갖춘 보육교사
-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보육교사
졸업 후 진로
국공립·직장·민간·가정 어린이집, 각 시·도 보육정보센터, 방과후 아동지도기관, 아동 관련 연구소, 아동 관련 출판사, 아동 관련 교재교구 제작업체, 아동 교육 프로그램 제작업체, 국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유치원 정교사 2급)
취득가능 자격증 및 자격증 취득 관련 이수 교과목
자격증/시험명칭 | 주관기관 | 이수과목 |
---|---|---|
보육교사 2급 | 보건복지부 | 자격증에 필요한 과목이수(별도설명참조) |
유치원 정교사 2급 | 교육과학기술부 | 자격증에 필요한 과목이수(별도설명참조) |
대학 등에서 이수하여야 할 교과목 및 학점일반(17학번 ~)
영역 | 교과목 | 이수과목(점수) | |
---|---|---|---|
보육인성 | 보육교사(인성)론, 아동권리와 복지 | 2과목(6학점) 필수 | |
보육지식 및 기술 |
필수 | 보육학개론, 보육 과정, 영유아 발달, 영유아 교수방법론, 놀이지도, 언어지도, 아동음악(또는 아동동작, 아동미술), 아동수학지도(또는 아동과학지도), 아동안전관리(또는 아동생활지도) | 9과목(27학점) 필수 |
선택 |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사회정서지도, 아동문학교육, 아동상담론, 장애아 지도, 특수아동 이해, 어린이집 운영 관리, 영유아 보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보육정책론, 정신건강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아동간호학, 아동영양학, 부모교육론, 가족복지론, 가족관계론, 지역사회복지론 | 4과목(12학점) 이상 선택 | |
보육실무 |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보육실습 | 2과목(6학점) 필수 | |
전체 | 17과목(51학점) 이상 |
대학 등에서 이수하여야 할 교과목 및 학점 일반(14 ~ 16학번)
영역 | 교과목명 | 학점 |
---|---|---|
보육기초 | 아동복지(론), 보육학개론, 영아발달, 유아발달, 보육과정, 보육교사론 | 6과목(18학점) 필수 |
발달 및 지도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아동생활지도, 아동상담(론), 특수아동지도, 장애아지도 | 1과목(3학점)이상 선택 |
영유아교육 | 놀이지도, 언어지도, 아동문학, 아동음악, 아동동작, 아동미술, 아동 수학지도, 아동과학지도,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교수방법(론) | 6과목(18학점)이상 선택 |
건강, 영양 및 안전 | 아동건강교육, 아동간호학, 아동안전관리, 아동영양학, 정신건강(론) | 2과목(6학점)이상 선택 |
가족 및 지역사회 협력 등 | 부모교육(론), 가족복지(론), 가족관계(론), 지역사회복지(론), 보육정책(론), 어린이집 운영과 관리 | 1과목(3학점)이상 선택 |
보육실습 | 보육실습 | 1과목(3학점) 필수 |
전체 | 17과목(51학점) 이상 |
유사교과목 인정범위 (2014. 3. 1. 시행)
영역 | 교과목 | 유사교과목 인정 범위 |
---|---|---|
보육필수 | 보육학개론 | 영유아보육학, 유아교육(개)론 |
보육과정 | 영유아보육과정, 유아교육과정 | |
보육실습 | 보육실습 | 보육현장실습, 교육실습 |
위 유사교과목 인정 범위에 대해서는 별도의 유사교과목 심의 절차 없이 영유아보육법(2014.3.1. 시행)에 따른 보육 관련 교과목으로 인정, 단 한시적으로 인정할 계획이며, 인정 기준은 별도 공지 예정
- 종 전 기 준 (2014. 3. 1. 시행) 대 상 자 의 「 영 아 발 달 」, 「 유 아 발 달 」교 과 목 이 수 불 가 시 교과목 이수방법
적용대상 : 6개 영역, 17과목 51학점 이수대상자
⓵ 2014.1. ~ 2016.12. 까지 「 고등교육법 」 제2조에 따른 학교를 입학한 사람
유사교과목 인정범위 (2014. 3. 1. 시행)
구분 | 인정기준 |
---|---|
"영아발달", "유아발달" 교과목 중 1과목만 이수한 경우 |
영아발달 + 영유아발달 이수 → 인정 |
유아발달 + 영유아발달 이수 → 인정 | |
""영아발달", "유아발달" 2과목 모두 이수할 수 없는 경우 |
영유아발달 + 종전기준 6개 영역 중, '보육필수', '보육실습' 영역을 제외한 선택영역(발달 및 지도, 영유아교육, 건강영양 및 안전, 가족 및 지역사회 협력 등)에서 1과목(3학점) 이상을 추가로 이수 → 인정 |
영유아발달 + 개정기준 3개 영영에서 1과목(3학점) 이상을 추가로 이수 → 인정 |
보육인력 국가자격증 홈페이지 : http://chrd.childcare.go.kr/ 참고
유치원교사자격증 관련 교과목 및 학점
유치원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교직과목 22학점이상을 취득하고, 교과교육영역과 기본이수과목을 포함하여 전공과목을 50학점 이상 취득하여야만 한다.
영역 | 교과목 | 이수과목(점수) |
---|---|---|
교과교육과정 | 유아교과교육론,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유아창의성교육 | 3과목(9학점) 필수 |
기본이수과목 | 유아교육론*, 유아교육과정*, 영유아발달과 교육*, 유아놀이지도, 유아관찰 및 실습, 유아언어교육, 유아사회교육*, 유아과학교육, 유아수학교육, 유아미술교육, 유아음악교육*, 유아동작교육, 부모교육*,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아동복지, 유아안전교육*(지정) |
7과목(21학점)이상 선택 (* 현재 개설 과목) |
부전공 및 복수전공 안내
1) 복수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자신의 소속학과), 복수전공은 전필, 전선 구분 없이 이수 할 수 있다.
2) 2016학번부터는 부전공을 하는 경우 제1전공(자신의 소속학과)은 전필, 전선 기본이수학점을 이수하고, 부전공은 전필, 전선 구분 없이 이수 할 수 있다.
복수전공 | 부전공 | ||||
---|---|---|---|---|---|
일반/융복합 : 복수전공 | 일반/융복합/연계 : 부전공 | ||||
제1전공 | 일반/융복합복수전공 | 제1전공 | 일반/융복합/연계부전공 | ||
~ 2015학번 | 48 | 36 | ~ 2015학번 | 66 | 21 |
2016학번 ~ | 44 *신학/예술 50 |
2016학번 ~ | 56(전필 20, 전선 36) *신학/예술 62(전필 26, 전선 36) |
졸업고사 : 졸업고사를 실시하는 해당전공의 경우는 졸업고사 교과목을(제1전공, 일반복수전공) 이수하여야 졸업고사 대비가 될 것입니다. 이점 유의 하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