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목적
학생들이 가정, 학교 및 사회생활 장면에서 직면하게 되는 학습이나 생활적응과 관 련된 제 문제들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을 이해하고 잠재능력을 발견하여 최적의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담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 상담교육자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데 목적이 있다.
2. 교육목표
1) 인간의 이해에 관한 다양한 상담의 제 이론과 상담의 실제에 관한 원리를 이해한다.
2) 각종 심리검사의 특성 및 유의점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시·해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내담자의 심리적 특성 전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3) 문제의 유형이나 내담자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교육과정
학기 | 구분 | 학점 | 과목명(영문) | 교과목해설 | 비고 |
---|---|---|---|---|---|
1/5 | 전필 | 2 | 상담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
상담이론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서로 비교 연구하 며, 상담과정의 필수 요소들을 개관하고 연습한다. | |
전필 | 2 | 학교 폭력의 예방 및 대책 (Prevention and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직 교사 및 예비교사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강좌이다. 학교폭력의 원인을 이 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내용과 구체적 현장사례를 통해 능동적이면서 적절한 대처기술을 다룬다. | ||
전선 | 2 | 생활지도연구 (Guidance Research) |
생활지도의 철학, 원리, 실제를 개관하고 상담교 사, 교사, 학교장의 역할, 지도기술과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다룬다. | ||
전선 | 2 | 아동발달 (Child Development) |
아동기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신체적 발달현상 전방에 관한 제 이론을 학습한다. | ||
2/5 | 전필 | 2 | 발달심리 (Developmental Psychology) |
발달심리학은 전생애를 발달단계별로 나누어 인 간 발달의 변화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하며, 각 발 달이론들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연대 기적 관점에서 배우게 된다. 인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인간을 보다 잘 이해하고 그들 의 성장과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 |
전필 | 2 | 성격심리 (Theories of Personality) |
성격 및 행동에 관한 제 이론을 연구하고 비교한 다. 성격의 발달, 구조, 병리에 대한 각 이론의 이해 가 상담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모색한다. | ||
전선 | 2 | 학습심리 (Learning Psychology) |
인간 학습 및 기억의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의 이론 과 가정을 탐색하며, 성숙, 동기 및 지능과 학습과 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 ||
전선 | 2 | 영재아상담 (Counsel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영재아들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신체적 발달특 성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당면한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를 다룬다. | ||
3/5 | 전필 | 2 | 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
집단상담의 이론적 기초, 집단의 역동성, 집단상담의 과정 등을 배우고 아동 및 학생들의 연령에 맞게 효과 적인 집단상담을 하기 위하여 연구하고 연습한다. | |
전필 | 2 |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ing) |
상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심리검사의 내용 과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사용을 위한 방법을 배 우고 연습한다. | ||
전선 | 2 | 이상심리 (Abnormal Psychology) |
이상행동의 분류와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실제 상 담에서 내담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활용할 수 있 도록 한다. | ||
전필 | 2 | 특수아 상담 (Counseling for Exceptional Children) |
특수 아동의 행동, 학습, 정서 등의 특징들을 이해 하며, 그들의 행동을 보다 건설적으로 변화시키고 그들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담적 접근을 모 색하다. | ||
전선 | 2 | 놀이치료의 이해 (Understanding of Play Therapy) |
놀이치료의 기본개념 및 주요기법을 연구하며, 이 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현장에서의 적용방안에 관 한 방법을 익힌다. | ||
4/5 | 전필 | 2 | 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
개인의 적성과 관련된 심리학적 특성과 적절한 직 업 영역을 비교 연구하고, 진로의 의사결정을 돕는 상담 방법을 익힌다. | |
전필 | 2 | 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
개인의 문제를 가족 구조 및 의사소통 안에서 발견 하기 위해 가족 체계이론 및 상담을 연구하고, 이 를 통해 개인의 효과적인 행동 변화 및 건설적 적 응을 낳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 ||
전선 | 2 | 심리학개론 (Theories of Psychology) |
사회과학의 기초학문인 심리학의 전반적인 내용 을 다룬다. 인간은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질문에 심리학은 과학적인 방식으로 접근한다. 심리학을 통해 인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한다. | ||
전선 | 2 | 학습상담 (Academic Counseling) |
교과지도 방식으로 충분히 도움을 주기 어려운 학업 부적응 문제를 상담적 방법으로 돕고, 학습자의 인 지적·정의적 측면에서 고른 발달과 적응을 촉진할 수 있도록 현실감 있는 학습상담의 방법을 익힌다. | ||
전선 | 2 | 인간관계론 (Theories of Human Relations) |
대부분의상담문제영역에공통적으로포함되어있는 인간관계의어려움을이해하는상담자가되기위해인 간관계와관련된각종이론과연구 결과, 인간관계개 선에도움이되는다양한자기진단방법과훈련프로그 램을살펴보고 익힌다. | ||
전선 | 2 | 미술치료의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tices in Art Therapy) |
미술활동을통해심신의어려움을도와주는심리치료 방법인미술치료를이해하고 교육이나상담의현장에 서실시할 수있는미술치료방법을습득한다. | ||
5/5 | 전선 | 3 | 상담세미나(논문대체) (Counseling Seminar) |
상담사례를 돌아가며 발표하고 사례에 대한 심리 적 진단, 문제의 발견, 치료적 접근 등에 관하여 토 의하고 지도받는다. | |
전선 | 3 | 인간중심상담 (논문대체) (Person-Centered Counseling) |
심리상담의 대표적인 접근 방법 중 하나인 인간중 심상담의‘관점, 철학, 삶의 접근법, 존재방식에 대해’살펴봄으로써, 이 접근법이 어떤 과정을 통 해 발전되었고 현재 상담자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이를 통해서 인간중심상담을 익 히고 상담자의 기본태도를 갖추고 익힌다. | ||
전선 | 3 | 정신역동상담 (논문대체) (Psychodynamic Counseling) |
심층심리학의 관점에서 성격에 대한 이해 및 상담 에 대한 접근 방법을 연구하고, 정신역동적인 상담 과정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익힌다. | ||
전선 | 3 | 사회변화와 직업의세계 (논문대체) (Social Variation and Vocation) |
사회변화에 따른 다양한 직업의 세계의 변화과정 을 고찰하고, 미래의 직업의 세계를 예측할 수 있 는 안목을 기른다. | ||
전필 | P |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 상담을 직접 실행하고 그에 대해 사례 연구지도 및 사례토의를 갖는다. | 1시간 | |
전필 | P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 3시간 | ||
전필 | P |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 1시간 | ||
전선 | P(6) | 논문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
상담심리와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고 학위논문 작 성에 관한 일반적 절차 및 연구방법론을 이해한다. |